문재인 대통령 판단에 가로막힌 청와대 이전 계획. <br /> <br />윤석열 당선인 측의 반발이 거셉니다. <br /> <br />현 정부는 안보 공백을 우려할 자격이 없다는 취지인데, 그 근거는 북한이 미사일을 발사해도 '도발'이라는 표현을 한 번도 쓰지 않았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김용현 / 청와대 이전 TF 팀장 (어제, CBS 김현정의 뉴스쇼) : 미사일 발사 위협은 굉장히 우리 국민에게 큰 위협이거든요. 그런데 전 세계적인 국제사회에서도 도발이라고 하는데 이 정부는 한 번도 도발이라는 표현을 안 했지 않습니까?] <br /> <br />2017년 5월. <br /> <br />문재인 정부 출범 직후, 북한이 동해 상에 탄도미사일을 발사했습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 2017년 7월 4일 NSC 상임위 소집) : 정부는 무책임한 도발을 거듭 강력히 규탄합니다.] <br /> <br />넉 달 뒤, 북한 6차 핵 실험. <br /> <br />문 대통령은 유엔 기조연설에서 다시 '도발'이라는 표현을 쓰며 규탄합니다. <br /> <br />[문재인 / 대통령 (지난 2017년 9월 21일 제72차 유엔총회 기조연설) : 기어이 6차 핵실험과 미사일 도발을 감행함으로써 우리 모두에게 말할 수 없는 실망과 분노를 안겼습니다.] <br /> <br />2018년 4·27 판문점 정상 회담. <br /> <br />남북 사이에 평화 분위기가 무르익으면서 '도발'이라는 단어는 자연스럽게 사라집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, 2019년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트럼프 당시 미국 대통령의 하노이 정상 회담이 성과 없이 끝나면서 상황은 달라집니다. <br /> <br />남북공동연락사무소 폭파. <br /> <br />그리고 최근까지 이어지는 미사일 발사 등의 움직임에 대해, 현 정부는 표현에 신중을 가하는 모습입니다. <br /> <br />이렇게 현 정부 대북 정책의 기조가 긴장보다는 평화에 방점을 두고 있어서 도발이라는 표현을 자제한 것은 맞지만, 5년 내내 도발이라는 말을 안 했다는 윤 당선인 측의 주장은 대체로 사실이 아닙니다. <br /> <br />YTN 신지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34_20220323123304679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